카테고리 없음

서구의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한국의 발달과정

학점마스터! 2020. 4. 30. 15:30

서구의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한국의 발달과정



주제 : 서구의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한국의 발달과정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서구 사회복지 실천의 발달과정


1) 자선조직협회의 활동


1800년대 초부터 영국에서 사회복지기관들이 하나 둘씩 출현하였다. 당시 사회복지기관들

은 대개 개인이나 민간단체들에 의해서 운영되었다. 주로 성직자들이 운영 및 활동을 주도

했고 거기에 종교단체들이 참여했다. 그 후 1900년대 초반까지 빈민을 위한 서비스는 이들

성직자들과 거기에 가세한 부유한 자선가들에 의해 제공되었다.

1800년대 중·후반에 들어서면서 대도시를 중심으로 많은 민간구제기관들이 출현하기 시작

했는데, 이들의 활동 목적은 실업자, 빈민, 환자, 신체·정신장애인, 고아 등을 돕는 것이었

다. 민간구제기관들은 빈민들의 행동습관이나 환경을 조사했고 가정을 방문하여 그들이 자

립할 수 있는 자립계획을 제시하고 경제활동을 지도하였다.

영국 최초의 자선조직협회는 1869년 런던에서 설립되었고, 미국 최초의 자선조직협회는

1877년 뉴욕 주의 버펄로에 세워졌다. 그 후 미국에는 많은 자선조직협회들이 생겨나기 시

작했다. 자선조직협회의 직원들은 주로 자원봉사자들이었으며 이른바 ‘우애방문단’ 이라 불

렸다. 우애방문단은 주로 중산층의 부인들로 구성된 자원봉사자들로서 빈곤가족을 방문하여

가정생활, 아동에 대한 교육, 가계경제 등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였다. 이들은 경우에 따라서

는 가족구성원들에게 용기를 불어넣어 주기도 하고 가족들을 도덕적으로 꾸짖기도 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나중에 가족 사회사업 담당 복지사 들에 의해서도 계승되었다. 자선조직협회

는 사랑에 기초한 종교적 가치를 강조하면서도, 빈곤의 성격과 인간성에 대해서는 도덕적

판단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선조직협회에 소속되어 있던 우애방문단은 1900년대부터 점

차 보수를 받는 정식직원으로 변하기 시작하였다.


2) 인보관운동


인보관운동은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갖고 있는 지역사회에 직접 나가

빈민과 함께 생활하면서 지역사회 환경의 개선 및 개혁과 빈민의 도덕적 교화에 힘써야 한

다는 믿음을 갖고 있던 사람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미국의 인보관 운동의 주요 활동무대는

미국 사회에 갓 도착한 빈민 이민자들이 모여 사는 곳이었다. 인보관 운동 참여자들은 빈민

지역의 주택개선, 공중 보건 향상, 사용자에 의한 빈민 착취의 방지 및 해결 등 제반 사회

문제에 대한 집합적이고 개혁적인 해결을 강조하였고 그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하였다.

3) 전문적 교육의 등장

자선조직협회에 유급 근무자들이었던 협회 전문 인력들은 자원봉사자들을 교육하고 조직·관

리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기준과 지침서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리치몬드는 1897년에 열린 자선 및 교정학회에 참석하여 전문교육을 담당할 기관의 필요성

을 역설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1898년에 미국 최초의 사회복지 전문 인력 훈련과정이 뉴욕

자선조직협회에 의해 뉴욕 자선학교의 후원 하에 개설되었다.

뉴욕 자선학교는 1904년에는 1년 프로그램을, 1910년에는 2년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서구의 지역사회복지의 발달과정과 한국의 발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