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개념

학점마스터! 2020. 5. 2. 06:30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개념 



사회복지 실천은 사회사업의 대체개념

⇒ ‘social work practice'

실천적 의미 강조

삶의 질 향상을 위한(클라이언트를 위한) 개념, 소집단 , 가족, 지역사회의 문제

및 욕구에 개입하는 종합적인 전문 활동

※ 사회복지 서비스

1) 대인서비스(personal services)

ex) 아동을 학대한 부모, 우울한 노인을 위한 상담, 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상담

2) 제도적 서비스(institutional services)(국가가 국민을 전체로 하는 서비스)

ex) 의료보험, 국민연금

①NASW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1974)

개인, 집단, 지역사회가 사회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자신들의 능력을 회복하거나 증진시키고 자신들의 목표달성을

위한 사회조건을 창조하도록 돕는 전문적인 활동

↪ 사회복지 실천이 전문직이라는 것을 강조

② 사회복지교육 협의회(Council of Wo가 Education, 1994, 미국)

인간 복지의 향상, 빈곤과 억압의 경감, 그리고 최상의 삶의질

향상을 위해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직이라고 규정

↪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향상이 목적으로 대두

※ 사회복지 실천이란 사람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개인, 소집단,

가족, 또는 지역사회의 문제 및 욕구에 권한 부여적 문제해결

접근 방법으로 개입하는 종합적인 전문 활동이라고 정의함

2. 사회복지 실천의 개념

※ Wilensky("산업사회와 사회복지“. 1958)

1) 잔여적 개념(residual concept):소극적 입장

① 가족, 시장과 같은 정상적인 공급구조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에 개입함

② 사회복지는 비상대책으로서의 기능을 수행

↳ 보충적(국가가 하지 못하는 것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시적(정상을 기능을 하면 다시 돌아가야 하니까)

대체적인 성격

③ 사회복지의 혜택을 받는 사람은 대체로 다른 사람보다 약하고

적응을 잘하지 못하는 비정상적이고 병리적인 사람으로 간주됨.

ex) 가장의 실직, 시장체계가 경기침체 등으로 제 기능을 하지못할 때 개입

(공공부조 프로그램) →가정이나 시장체계가 기능을 회복했을 때는 개입을 중단함

2. 제도적 개념(institutional concept):적극적 입장

① 사람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의 삶과 건강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봄

② 각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자아를 최대한 계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사회복지의 혜택을 받는 것은 정상적

③ 사회복지는 그 사회의 제일선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봄

④ 사회복지 서비스는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제공된다.

⑤ 서비스를 받은 것에 대한 낙인이 없다.

→ 대표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은 연금제도, 의료보험제도

※ Wilensky는 산업화가 진점됨에 따라 제도적 개념이 더 우세하게 될 것이라 봄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개념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