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치매노인 돌봄 문제
치매노인 돌봄 문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치매노인의 수도 증가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65세 이상 노인 중의 약 6∼7%가 치매로 알려져 있고 85세 이상의 경우에는 약 25%가 치매환자로 알려져 있다. 치매는 일단 진단 후에는 계속 진행이 되지만 치매 진단 후 평균 7년 정도의 생존 기간이 보고되어 있을 정도로 환자와 가족이 장기간의 고통을 받는 질병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치매노인을 돌보는 전문시설이 부족하고 가족들도 노부모의 간호를 외부 도움에 의존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치매가 있는 노인을 가족이 돌보고 있다. 그런데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은 치매노인을 돌보는데 필요한 준비가 전혀 없이 이러한 책임을 맡게되고 장기간의 간호 부담에 의해 신체, 심리,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으면서 어려움을 참아나가고 있다. 그러나 가족들이 치매노인을 돌보는 방법에 대해 지식을 얻고 여러가지 외부자원들을 활용한다면 약간이라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칼럼에서는 이러한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본적인 간호 방법과 간호자 자신을 위한 관리, 그리고 활용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의 소개를 하려고 한다.
1. 치매노인을 위한 간호방법
1)치매노인 간호의 원칙
치매 진단을 받은 노인 중에는 치매의 유형이나 치매의 진전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과 능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치매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돌봄의 원칙을 제시하려고 한다.
(1) 치매 노인의 환경이 노인에게 안전한 환경이 되도록 항상 관심을 가져야 한다.
건강한 사람은 환경에서 오는 위험을 판단하고 적절한 예방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치매노인은 판단력과 기억력이 점차 저하되면서 자기 보호의 능력도 떨어진다. 그러므로 노인의 능력에 비해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은 가능한 노인의 환경에서 제거하여야 한다.
(2) 치매노인의 문제 행동은 적절한 간호방법을 이용함으로서 감소시킬 수 있다.
치매노인에게는 다양한 이상행동이나 공격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는데 돌보는 사람이 이러한 문제행동을 예방, 대처하는 방법을 알고 활용하면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노인의 남아있는 능력을 활용하도록 권장하고 보존한다.
치매 노인의 능력은 계속 감소하지만 가능한 오래 남은 능력을 사용하게 함으로서 능력의 저하를 느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할 수 없게된 것을 강요하면 환자의 상태가 더 나빠진다. 그러므로 노인의 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일단 할 수 없게 된 것은 그대로 받아들인다.
(4) 간호하는 가족의 건강도 중요하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이 피로하고 건강하지 않고 불행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면 치매노인을 잘 돌볼 수 없다. 치매노인을 돌보는 사람은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휴식시간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가족원은 돌봄 책임을 서로 나누도록 해야 하고 일차적인 돌봄 책임을 가진 사람을 도와주려는 자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다른 가족이 돌보는 것이 불가능하면 외부 도움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특히 초기 치매 노인은 잠깐 만난 사람이 눈치채지 못하는 정도로 멀쩡해 보이나 기억력 문제를 감추기 위한 방법으로 같이 사는 간호자에 대해 여러 가지 중상 모략을 할 수 있다. 이것은 단지 증상이므로 다른 가족은 이러한 증상에 대해 잘 이해를 하여야 한다.
(5) 노인의 자존심을 존중하고 아이취급을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가족이 치매가 생긴 노인을 돌보기 시작할 때 부모에게 최선을 다해보겠다고 결심하고 노인을 돌보려고 한다. 그러나 노인의 나쁜 행동 때문에 때로는 이 분이 내 부모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되고 노인을 함부로 대하기 쉽다. 그러나 노인은 자존심이 상하면 더 나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고 가족도 노인에게 함부로 대하고 나면 죄의식이 생긴다. 노인의 이러한 문제행동들은 질병에 의한 증상일 뿐이다.
(6) 최근에는 증상을 줄이거나 병의 진행을 느리게 하는 여러 가지 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의사를 방문하도록 하고 전담 의사를 정해 놓는 것이 좋다.
치매노인 돌봄 문제
- Total
- Today
- Yesterday
- 사무자동화산업기사응시자격취득
- 인력사무소창업조건
- 학점은행제사회복지사
- 청소년상담사자격증
- 학점은행제사회복지사2급
- 사무자동화기사
- 산업안전기사응시자격
- 사회복지공무원
- 학점은행제사회복지사비용
- 사무자동화기능사
- 건설안전기사
- 건설안전산업기사
- 사무자동화산업기사응시자격
- 사회복지사2급자격증
- 학점은행제
- 사회복지사2급자격증취득방법
- 청소년상담사1급응시자격
- 청소년상담사자격증응시자격
- 학점은행제사회복지사기간
- 전산직공무원
- 간설안전산업기사응시자격
- 사무자동화산업기사
- 청소년상담사자격증3급응시자격
- 건설안전기사응시자격
- 사회복지사2급
- 사회복지사
- 청소년상담사2급응시자격
- 산업안전기사
- 청소년상담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